입시 정보

수리논술과 내신

도성원T 2024. 2. 28. 10:50

"논술도 수시니깐 내신이 중요하다던데.. 어느 정도면 되나요?"

아직 3학년 내신시험을 치르지 않은 시점이라면

아무리 내가 교과, 학종으로 대학을 갈 계획이 아니고, 정시러라 할지라도

내신을 던지지는 말자...

라고 조언을 하고싶습니다. 6,7등급이 껴들어오면, 굉장히 머리가 아픈 상황이 펼쳐집니다ㅠㅠ

 

 

논술전형의 평가항목은 A.논술, B.교과, C.비교과 세 가지 입니다. 대학별로 A:B:C의 반영 비율이 다릅니다.

 (세부 내용은 25전형계획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

 

먼저, 반영비율을 정리해보겠습니다. (관심 대학이 논술 100%면 내신 반영이 어떻게 되는지는 소용이 없겠죠?)

논술:교과:비교과
대학
100:00:00
가천대,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고려대세종, 덕성여대, 동덕여대,
성균관대, 연세대, 연세대미래, 이화여대, 한국외대, 한국항공대, 한국기술교육대
90:10(종합) 한양대
90:10:00
상명대, 숙명여대, 신한대, 홍익대
90:09:01 성신여대
80:20:00
가톨릭대, 단국대, 서울여대, 숭실대, 아주대, 한국공학대
80:10:10 서강대
70:30:00
경북대, 광운대, 부산대, 삼육대, 서울과기대, 서울시립대, 세종대, 을지대, 인하대
70:20:10 동국대, 중앙대
60:40:00 수원대, 한신대

(** 한양대의 종합은 뭐죠?

-> '학생부에 기록되어 있는 출결, 봉사활동 등을 참고하여 학생의 학교생활 성실도 중심으로 종합평가 합니다.' 모집요강에 적혀있는 내용입니다. 즉, '비교과를 보는데 정량적으로 보진 않나보다'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그럼 이제 A.논술, B.교과, C.비교과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A. 논술

말 그대로 논술 시험 점수 입니다. 

앞선 게시글에서 소개드린 것처럼 수리논술+과학논술로 구성되어있고, 과학논술은 보는 학교는 의학계열 일부입니다.

 

B. 교과

교과점수가 바로 내신등급이 반영되는 부분입니다.

 

1~5에 분포되어 있으면, 논술에서는 신경쓰지 않아도 되고

6~9등급이 있으면, '감점이 좀 되겠구나..'라고 생각

 

대학에서는 '등급별 환산 점수표'를 가지고 교과점수를 반영하는데 등급이 내려갈수록, 감점폭이 커지는 구조로 짜여져 있습니다.

대학마다 감점폭의 커지는 정도가 높거나 낮습니다. 내신에서 5등급 아래의 등급이 많은 친구들은 이 부분을 고려하여 원서지원을 하게 될 것입니다.

 

아래는 감점폭의 커지는 정도가 적은 곳과 큰 곳을 가져와봤습니다.

서강대

1 2 3 4 5 6 7 8 9
10 9.96 9.92 9.88 9.84 9.8 9.76 9.7 0

동국대

1 2 3 4 5 6 7 8 9
20 19.94 19.89 19.8 19.6 17.4 14 12 10

어떠신가요?

서강대는 '내신은 9등급만 아니면 돼! 논술 시험 잘 봐라!!'

동국대는 '논술전형이니깐 5등급까지는 봐줄게. 하지만 6등급부터는 감점할거야!!'

라고 말하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대학별 반영방법이 다르니, 내신 등급이 좋지 않은 친구들은 이 점을 꼭 확인해야겠습니다.

5월 모집요강 발표 이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 비교과

출결이 반영됩니다. (코로나 이전까지는 봉사활동시간도 반영했으나, 최근에는 모두 삭제하는 흐름입니다.)

생활기록부의 결석 중, "미인정 출결"에 해당하는 결석 일수를 가지고 감점이 일어납니다. 인정 출결이나 질병 출결은 전혀 고려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1 2 3 4 5 6
서강대 10 10 10 9.8 9.8 9.8
중앙대 10 9.8 9.8 9 9 7.5
동국대 10 10 10 9.4 9.4 9.4

 


지금까지 논술에서 교과, 비교과가 어떻게 반영되는지 러프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각 대학별 세부사항은 25 모집요강이 발표되면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